소상공인 손실보전금 관련 사기문자 유형 및 대처방법

2022년 06월 01일 by 도리포2
728x90
반응형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지급되는  '소상공인 손실 보증금' 지급시기에 맞춰 이를 노리고 있는 사기업체들의 전화 사기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경찰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근거로,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관련 사기 문자 유형 및 대처방법을 간단히 정리합니다.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관련 사기 문자 유형 및 대처방법

소상공인 손실지원금 관련 사기 문자 유형 및 대처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썸네일
손실지원금 관련 사기문자 유형 및 대처방법


손실보전금  신청기간, 신청 방법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게  '소상공인 손실 보전금'을 지급하면서, 이때를 노리고 있는 사기업체들의 전화 사기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경찰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추경 그리고 소상공인 보전 자금을 지급하겠다. 이런 핑계로 미끼성 문자. 전화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경찰청자료
손실지원금 관련 사기문자 유형 및 대처방법-경찰청

경찰청 전화금융사기 예방 10 계명 

  1. 현금 : 검사나 검찰 수사관, 금융감독원, 대출업체 누구에게라도 현금을 주지 말 것. 현금을  갖다 주라는 것은 100% 전화 금융  사기.
    현금을 달라 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검사다 하더라도 검찰 수사관이라 하더라도 금융감독원이나 대출 업체라 하더라도 누구도 현금을 가지고 오라 한다면 절대 주시면 안 된다 이것은 모두 사기다 이렇게 생각하면 된다는 얘기입니다.
  2. 문자:  모든 대출 문자 의심할 것. 무작위로 보내지는 대출 문자, 투자 안내 메시지 100% 전화 금융 사기다
    99%가 아니라, 100% 전화 금융사기다 그렇기 때문에 대출해준다 지원해준다 지원금 준다 정부에서 어떻게 하겠다. 이런 메시지가 온다면 이것은 100% 전화 금융 사기다 이렇게 생각하면 됩니다.
  3. 악성 앱: 문자에 인터넷 주소를 누르지 말 것.
    악성 앱을 누르는  순간 이때부터는 내가 가지고 있는 휴대폰이 내 휴대폰이 아니게 됩니다. 때문에 문자가 왔다. 거기에 인터넷 주소가 있다.  그러면 절대 이것을 누르시면 안 된다 이거 꼭 기억해 두어야 합니다.
  4. 신분증 :  신분증 , 신용카드 사진 파일 보내지 말 것. 정상적인 업체가 신분증이나 사진 파일 요구를 하지 않으며, 100% 전화 금융 사기
    라고 보면 됩니다.
  5. 상품권:  상품권을 주고 나서, 상품권 핀 번호를 알려달라라는 문자들도 있는데, 이것도 조심해야 됨.
  6. 폰 고장 : "아빠 폰 망가졌어" 라면서, 인터넷 주소를 보내줄 테니까 눌러서 앱을 깔아달라 는 문자는 100% 전화 금융 사기
    아빠든 엄마든 또는 딸이든 아들이든 이런 식으로 인터넷 주소를 보내주면서 앱을 깔아달라라고 한다면 100% 전화금융 사기다라고 판단하면 되겠습니다.
  7. 고액 알바: 현금을 수거하는 아르바이트는 없습니다. 100% 현금 수거책입니다.
  8. 선불폰 : 선불폰이나 유심을 제공해 주는 대가로 돈을 받는 것은 무조건 범죄입니다.
    범인들은  이렇게 해서 몰래 계좌를 만들고 자금 세탁까지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9. 백신 설치 : V3등 검증된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주기적으로 검사할 것.
    요즘 정말 많은 악성 앱들이 많은데, 이렇게 백신을 설치해라 안내해 주는 경우가 많지만, 검증되지 않은 백신 프로그램은 오히려 내 휴대폰을 정말 망가뜨리고 여기에다가 내 휴대폰에 깔려 있는 모든 나의 개인 정보 또는 금융정보 이런 것들까지 털릴 수 있습니다.
  10. 확인 전화 : 검찰. 경찰, 금감원, 은행 등 어디든지  전화번호를 검색해서 무조건 먼저 확인할 것.
    문자나 전화가 왔다면, 일단 받아놓고 무조건 의심하고 여기에 대해서는 실제 확인될 수 있는 검찰이나 경찰 금감원 은행 여기에 전화를 해서, 실제 직원들과 통화를 통해, 보이스피싱이나 사기 문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기 문자 사례

사기문자
손실지원금 관련 사기문자 유형 및 대처방법-사기문자 사례

위에 첨부된 이미지는 '사기 문자' 사례 캡처이미지입니다.  특이한 사항으로는 제목 바로 밑에  [광고]라는 표시가 쓰인 것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광고]라는 표시가 있는 문자는 무조건 사기 문자라고 보아도 됩니다.

 

손실보전금 신청 사이트

온라인 신청을 원칙이며, 포털 검색창에서 "손실보전금" 입력해서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kg"로 들어가서 신청하면 됩니다.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관련 참고 포스팅]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유의사항 알기 쉬운 정리

 

마무리

이상으로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에게 최소 600만 원에서 1000만 원까지 지원되는 '소상공인 손실 보증금'이  5월 30일부터 신청 및 지급이 이미 시작되었는데, 손실보전금의 대상자별 정확한 신청 날짜 및 신청방법,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기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특히 신청 일정을 확인하여, 기한 내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이를 계기로 극성을 부리고 있는 피싱문자 등도 주의하여야 하겠습니다. 끝.

728x90
반응형